기록 개요
[위치지도]
[기록일지]
처음에는 내가 은평에 대해서 무엇을 기록해야할지 몰랐다. 무엇을 기록할 수 있는지도 몰랐다. 그래서 여기가 은평인지 뭔지 모를 감상적인 이야기들과 기록을 남겼다.
그러다가 사람들이 모이는 많은 은평 커뮤니티들이 재미있어졌다. 사람들의 교류가 아직 남아있는 곳, 동네의 일원으로 주민들이 움직이는 곳, 개발과 유지의 소용돌이 속에 있는 곳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은 모임 하나하나가 마을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점이 되는 것도 좋아 보였다.
특히 장애시설이 모여있고 비장애인도 쉽게 왕래가 가능한 곳이 있다는 것이 독특하기도 했다. 장애시설이 먼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직도 장애인이 진입하기 쉬운 도로나 교통상황으로 변할 수 없는 오래된 동네의 어려운 점도 보였다.
보이는 현상과 사물 이상의 것을 그릴 재간은 없었지만 보이지 않는 사람들과 마을간의 교류와 연결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나도 내가 사는 곳을 잠만 자거나 생활권이라는 소비적인 개념이 아닌 일상이 되어주는 곳으로 만나고 싶다.
1.
A5 내를 건너 숲으로 도서관 뒷편
2.
A5 봉산 가는 길 주택가
3. A5 내를 건너 숲으로 도서관 인근
4. A5 서부재활체육센터의 연결다리
5. A5 산새마을
6. A5 산새마을
7. A5 토정골 사랑방 외관(인테리어 전)
8. A5 토정골 사랑방 내부
9. A5 서부재활체육센터 수영장
10.
A5 서부재활체육센터에서 바라본 토정골 사랑방
11. A5 토정골 사랑방에서 키운 식물의 열매
12.
A5 서부재활체육센터 1층 로비
13.
A5 토정골 사랑방 옥상
14.
A5 토정골 사랑방 앞쪽 외관(인테리어 중-담쟁이 식물, 옥상 식물들이 다 사라짐)
15.
A5 토정골의 유래
16.
A5 토정골 사랑방 내부 - 지혜방
17.
A5 토정골 사랑방 입구 (공간운영 공고)
18.
서부재활체육센터와 내부 연결다리
[현장탐방사진]
1.
9월 2일 / 내를 건너 숲으로 도서관 ~ 봉산
2. 9월 9일 / 서부재활체육센터 ~ 산새마을 ~ 산새텃밭
3.
9월 16일 / 서부재활체육센터 인근
4. 9월 20일 / 서부재활체육센터, 토정골 사랑방
5.
10월 5일 / 구산동도서관마을, 토정골 사랑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