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마을, 은평을 기록합니다
1. 기획 배경
•
은평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기록을 수집하여 현재 은평의 모습과 역사를 기록하고자 하였다
•
2020년에 시작된 은평 로컬아카이빙 프로젝트를 확장하고 구술기록 수집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2. 교육 구성
•
총 7회차 강의 및 5회차 구술 인터뷰 실습교육, 영상인터뷰 제작 참여
•
이론교육 중심의 강의, 실습 멘토링
•
노션, 구글드라이브 사용
커리큘럼 요약
날짜 | 구분 | 제목 | 강사 |
6월 9일(수) | 이론강의 | 아카이브란 무엇인가 | 허나윤(페이퍼백아카이브) |
6월 12일(토) | 이론강의 | 커뮤니티 아카이브의 이해 | 배은희, 윤주
(기록하고 책만드는 빨간집) |
6월 16일(수) | 방법론 워크숍 | 개인의 삶이 역사가 될 때 : 기록하는 글쓰기 | 허나윤 (페이퍼백아카이브) |
6월 19일(토) | 방법론 워크숍 | 기억을 공간화하는 방법 : 그림으로 기록하기 | 김윤이(그림책작가) |
6월 23일(수) | 방법론 워크숍 | 지역의 이야기 발굴하기 : 구술기록 수집하기 | 조기옥, 이연희
(사회적기업 <선호프로젝트> |
6월 26일(토) | 방법론 워크숍 | 미디어로서의 아카이브 : 영상으로 기록하기 | 도유진 (다큐멘터리 감독) |
6월 30일(수) | 멘토링 워크숍 | 은평 아카이빙 기획서 멘토링 | 허나윤(페이퍼백아카이브) |
7–8월 | 은평 아카이빙 실습 | 은평주민의 구술사 수집하기 : 인터뷰하고 기록하기 | 허나윤, 조기옥, 도유진 |
3. 참여자 정보
•
은평 및 서울시 주민 대상
•
20대 ~ 50대 여성 참여자 비율이 높음
4. 산출물
•
인터뷰 녹취록, 인터뷰 영상 5편
인터뷰 영상 촬영 모습
5. 연계 활용
•
2021년 성과공유회 개최
•
인터뷰 영상기록물은 은평구청 유튜브 게시
6. 메모
•
참가자들이 인터뷰 대상자 섭외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겪었음
•
인터뷰 녹취록의 콘텐츠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