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의 오늘을 새롭게 기록한 아키비스트를 찾습니다
1. 기획 배경
•
2022년에 이어 그림, 음악 분야와 결합하여 다양한 기록 생산 및 아카이브 콘텐츠 개발
•
개인의 기억으로 로컬 커뮤니티의 역사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구술기록 수집 및 생산
2. 교육 구성
•
실습 분야: 그림기록, 음악기록, 구술기록(글쓰기)
•
일정: 8월 26일 ~ 10월 14일, (매주 토요일 총 7회)
•
교육장소: 구산동도서관마을, 내를건너서숲으로도서관, 생활문화센터모여락
•
실습 분야별로 은평 내 적합한 장소 및 시설 활용
커리큘럼 요약
회차 | 날짜 | 교육내용 | 강사 |
1 | 8/26(토)
14시~16시 |
은평 아카이빙 오리엔테이션
- 2023년 교육과정 소개
- 실습팀별 주제 소개
- 아카이빙 가이드라인 안내
인터뷰와 구술기록의 이해 | 허나윤 |
2 | 9/2(토)
14시~17시 | 은평 아카이빙 현장워크숍
- 팀별 주제관련 장소 탐방
지역주민 만나고 인터뷰하기
개인별 기록주제 세분화 | 허나윤 |
3-6 | 9/16(토)
9/23(토)
10/7(토)
10/14(토) | 은평 아카이빙 실습
팀별 실습 진행
실습과정 아카이빙 공유 | 그림기록팀(김윤이)
음악기록팀(레이린)
구술기록팀(허나윤) |
3. 참여자 정보
•
은평구 및 서울거주 성인 대상
•
참가자 선발과정
- 7월: 온라인 설명회 개최 및 홍보
- 8월: 참가 신청서 접수(아카이빙 계획서 제출)
•
지원자 인터뷰를 통해 20인 선발
4. 산출물
•
기록집: 로컬의 기억과 기록의 발견
•
기록일지(그림기록팀, 음악기록팀) 및 구술기록
2023년 교육과정 오리엔테이션
그림기록팀 실습 모습
구술기록팀 실습 모습
음악기록팀 실습 모습
5. 연계 활용
•
2023년에는 기록 분야별로 3개의 장소에서 아카이브 전시 동시 진행
•
실습장소, 기록주제, 기록분야별 전시장소
: 구산동도서관마을(구술기록팀), 내를건너서숲으로도서관(그림기록팀), 모여락(음악기록팀)
6. 메모
•
2023년의 교육과정의 성과는 3개의 장소에서 동시에 진행된 아카이브 전시
•
전시 준비의 어려움은 있었지만 도서관 등 접근성이 높은 장소와 주제 연관성으로 대중적인 공유에 성공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