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동네, 우리가 직접 기록합니다
1. 기획 배경
•
구산동을 중심으로 지역 공동체의 기억을 발굴하고 기록
•
AI 기술을 활용한 현대적 기록 방법을 학습하여 실질적 아카이브 제작 역량 강화
•
‘구산동 마을잡지’에 실을 수 있는 기록 콘텐츠 생산
2. 교육 구성
•
이론 강의(1~3회차) / 지역 탐방 및 주제 발견(4회차)
•
기록 기획 및 수집(5~9회차)/ 결과물 공유 및 멘토링(10회차)
•
각 회차별 이론, 실습, 과제를 통해 기록 제작 능력의 점진적인 성장 지원
•
AI 기반 기록 수집 및 아카이빙 방법을 학습하여 아카이브 제작의 효율성 도모
세부 커리큘럼
일시 | 주제 | 강사 |
6/5 (목) | 마을기록과 시민참여 기록활동의 이해 | 심수림 |
6/12 (목) | 공동체아카이빙 사례와 그 의미 | 최서영 |
6/19 (목) | 지역사의 이해 | 최순옥 |
6/21 (토) 10시 | 구산동 마을여행 | 정순희 |
6/26 (목) | 마을기록의 첫걸음 | 허나윤 |
7/3 (목) | 스마트한 기록, 디지털아카이빙 실무 | 허나윤 |
7/10 (목) | 이미지 기록과 스토리텔링 | 허나윤 |
7/17 (목) | 구술인터뷰 방법론 | 허나윤 |
7/24 (목) | 구술기록 글쓰기 | 허나윤 |
7/31 (목) | 마을기록 발표회 | 허나윤 |
8-9월 | 개별, 팀별 마을기록활동(구산동 중심) | 자문 제공 |
10월 | 기록 결과물 제출 후 수료식 |
3. 참여자 정보
•
구산동 주민, 은평구 주민
•
여성 참가자 비율이 높았으며, 60대 이상 참가자도 있었음
4. 산출물
•
강의 자료, 실습양식, 실습기록물
•
구글 드라이브 활용 : 실습기록 공유
5. 연계 활용
•
수료 후 <구산동 마을잡지> 발간작업과 연계
6. 메모
•
참가자들의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강화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