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을 위한 아카이빙 기획과 기록의 기술
1. 기획 배경
•
은평 지역의 특성과 주민 삶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록자로서의 역량 강화
•
구술, 글, 사진,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아카이빙 역량 강화
•
기록활동 및 과정에 대한 멘토링 제공으로 우수한 콘텐츠 발굴 지원
2. 교육 구성
•
공모전 설명회, 로컬 아카이빙 방법론 워크숍, 최종 공유회
•
강의, 발표, 멘토링
세부 커리큘럼
일정 | 교육 내용 | 강사 |
5월 20일(화)
오후7시 | 공모전 오리엔테이션
- 공모전 취지 및 목표 안내
- 공모전 일정 및 진행 과정
- 기록물 제출 방법 등 | 정민구
(은평시민신문) |
로컬 아카이브 소개
-구산동도서관마을 마을자료실 활용방법
-지역기록 사례 소개 | 나혜수
(구산동도서관마을 마을자료실 사서) | |
6월10일(화)
오후7시 | 로컬 아카이빙이란 무엇인가
-로컬 아카이빙 개념 및 특성
-일상 기록의 중요성 | 허나윤
(페이퍼백 아카이브 대표) |
6월24일(화)
오후7시 | 로컬 아카이빙 방법론 소개
- 구술기록으로 글쓰기
- 기록의 스토리텔링 방법 등 | 허나윤
(페이퍼백 아카이브 대표) |
7월15일(화)
오후 6시 | 로컬 아카이빙 최종 공유회
- 공모작 발표 및 전문가 심사평 제공
- 향후 기록방안 제언 | 허나윤
정민구 |
3. 참여자 정보
•
은평구 주민, 서울 및 타지역 거주자
•
은평구 인근 지역과 타지역 거주자의 참가 비율이 높았음
4. 산출물
•
워크숍 강의자료
•
신청자 발표자료
5. 연계 활용
•
수상자의 글은 추후 은평시민신문 연재
•
페이퍼백 아카이브의 단행본 발간
6. 메모
•
은평구에서 최초로 시행된 시민기록공모전으로 시민들의 다채로운 기억과 시선을 담은 기록물 생산